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2

중급 1편: 좋은 ETF, 어떻게 골라야 할까? 중급 1편: 좋은 ETF, 어떻게 골라야 할까?한 번도 가보지 않은 도시로 떠나는 여행을 생각해 보자. 우리는 여행사를 고르고, 항공편을 살피고, 노선을 확인하며, 보험과 수하물 규정을 체크한다. ETF를 고르는 일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ETF는 여행 패키지처럼 이미 코스가 짜여 있고, 운용사라는 여행사가 일정과 비용을 공개한다. 오늘은 “좋은 ETF를 고르는 기준”을 여행 준비의 단계로 나눠, 한 걸음씩 차근차근 짚어본다.1. 목적지와 일정부터: 나의 투자 이유, 기간, 흔들림 허용치여행을 잘하려면 먼저 왜 떠나는지, 얼마 동안 떠나는지, 험한 길을 어느 정도까지 감수할지를 정한다. ETF도 마찬가지다. 매달 현금흐름이 필요하면 배당이 단정히 나오는 코스를, 장기 성장을 노린다면 넓은 시장을 담은.. 2025. 8. 30.
7. ETF의 장점과 단점(초급, 마지막 장) ETF의 장점과 단점옛날 옛적, 강가 장터 한복판에 바구니 상인이 서 있었다. 상인은 큰 목소리로 외쳤다.“이 바구니를 사면, 여러 과수원의 맛을 한꺼번에 맛볼 수 있다오!그러나 조심하시오, 바구니도 흠이 있소!”사람들은 귀를 쫑긋 세우고 모여들었다. 오늘은 장터 상인의 이야기를 빌려, ETF의 장점과 단점을 풀어본다.장점 1: 여러 과일을 한 바구니에한 노인은 손가락으로 장터의 여러 과일을 가리켰다.“사과만 사면 사과 맛만 나고, 배만 사면 배 맛만 나지. 그런데 이 바구니는 사과도, 배도, 바나나도 함께 담겨 있네.”이것이 분산 투자다. ETF 하나를 사면 여러 기업에 동시에 투자하는 효과가 있다. 한 기업이 아파도, 다른 기업이 건강하면 바구니는 크게 흔들리지 않는다.장점 2: 사고팔기 쉬운 바구니.. 2025. 8. 30.
6. ETF와 세금, 분배금 이해하기 ETF와 세금, 분배금 이해하기옛날 강가의 마을에는 바구니 장터가 있었다. 바구니를 사고 나면 계절마다 과일이 나누어졌고, 마을의 규칙에 따라 세금을 내야 했다. 사람들은 처음엔 그 규칙이 복잡해 보였지만, 사실 일상의 이야기와 다르지 않았다. 오늘은 ETF의 세금과 분배금에 대해 마을 이야기로 풀어본다.계절마다 돌아오는 분배금마을 과수원에서는 사계절마다 과일을 수확했다. 바구니를 가진 사람들은 그 수확의 일부를 작은 봉투로 받았다. 이것이 ETF의 분배금(배당금)이다. 분배금은 ETF 속 기업들이 낸 이익을 모아 투자자에게 나누어 주는 것이다. 어떤 ETF는 분기마다, 어떤 ETF는 1년에 한 번 나누어 준다. 봉투를 손에 쥐면 기분이 좋았지만, 현명한 사람들은 이 봉투를 다시 바구니에 담았다. 이것이.. 2025. 8. 30.
5-2. ETF 기본 용어 배우기 (하) ETF 기본 용어 배우기 (하)강가의 장터 서재에서 단어책을 펼친 사람들은 이제 절반의 길을 걸었다. 그러나 바구니를 오래 들고 가고, 계절이 바뀌어도 기울지 않으려면 또 다른 단어들을 알아야 했다. 오늘은 서재의 뒷장에 적힌 나머지 단어들을 함께 읽어 본다.리밸런싱(Rebalancing): 계절마다 무게를 다시 재는 일마을의 과수원에는 계절이 있었다. 봄에는 사과가 많이 열리고, 여름에는 배가 많았다. 시간이 지나면 바구니 속 과일의 무게가 한쪽으로 치우쳤다. 그래서 농부는 계절마다 과일을 다시 섞어 담았다. 이것이 리밸런싱이다. ETF에서도 특정 기업이 지나치게 커지면 비중을 줄이고, 작은 기업을 다시 채워 균형을 맞춘다. 리밸런싱은 화려한 기술이 아니라, 꾸준히 바구니를 다듬는 습관이다.방법론(Me.. 2025. 8. 30.
5-1. ETF 기본 용어 배우기 (상) ETF 기본 용어 배우기 (상)옛날 강가의 장터에는 바구니를 파는 상인이 있었고, 그 바구니를 잘 고르기 위해서는 낯선 단어들을 알아야 했다.사람들은 처음엔 그 말들이 어렵다고 생각했지만, 곱씹어보니 다 일상의 경험과 닮아 있었다. 오늘은 ETF를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기본 용어들을 상편으로 나누어 하나씩 풀어본다.지수(Index): 장터의 지도장터는 넓었고, 과일은 많았다. 손님이 이곳저곳을 다니며 과일 값을 일일이 확인하기란 쉽지 않았다. 그래서 마을 사람들은 큰길만 모아 만든 지도를 사용했다. ETF에서 말하는 지수(Index)가 바로 이 지도다. 한국의 대표 기업 200개를 모아 놓은 길이 ‘KOSPI200’, 미국의 큰 기업 500개를 모아 놓은 길이 ‘S&P500’이다. 지수는 시장 전체를 .. 2025. 8. 29.
4. ETF 투자 방법~!!! ETF 투자 방법옛날 어느 마을에는 장터에서 과일을 사는 새로운 방법이 등장했다. 사람들은 이제 사과 하나, 배 하나씩 직접 고르지 않고, 이미 정성껏 담아둔 바구니를 사고 싶어 했다. 하지만 바구니를 사려면 규칙이 있었다. 어떤 가게에서 사야 하고, 어떤 상인이 만든 바구니인지 알아야 했다. 투자 세계에서 ETF를 산다는 것은 바로 이런 과정과 같다. 오늘은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ETF 투자 방법을 장터 이야기로 풀어본다.장터에서 바구니를 사려면옛날 장터에서 과일 바구니를 사려면 그냥 아무 데서나 살 수 없었다. 믿을 만한 상인을 찾아야 했고, 상인이 내놓은 바구니가 어떤 과일들로 구성되어 있는지도 확인해야 했다. ETF도 마찬가지다. ETF를 사려면 먼저 증권사 계좌가 필요하다. 계좌는 장.. 2025. 8. 29.
반응형